글쓴이 이름: 원씨춘추

접지(Earthing 또는 Grounding)는 전기설비의 이상전압이나 누설전류, 낙뢰 등으로부터 인체와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보호 기술이다. 접지 방식은 전기설비의 종류와 운영 목적, 그리고 통신·제어시스템과의 연동 여부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잘못된 접지 방식은 오히려 지락전류의 경로를 불안정하게 하거나, 오동작을 유발하고, 감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소방원론

접지방식 독립접지 공통접지 통합접지

접지(Earthing 또는 Grounding)는 전기설비의 이상전압이나 누설전류, 낙뢰 등으로부터 인체와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보호 기술이다. 접지 방식은 전기설비의 종류와 운영 목적, 그리고 통신·제어시스템과의 연동 여부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하며, 잘못된 접지 방식은 오히려 지락전류의 경로를 불안정하게 하거나, 오동작을 유발하고, 감전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지반의 전기저항률이 높거나 주변 환경이 불량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접지봉만으로는 기준 저항값(보통 10Ω 이하)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접지저항 저감기법이 활용되며, 대표적으로는 물리적 저감법과 화학적 저감법이 있다.
소방원론

접지저항 물리적 저감법 화학적 저감법

지반의 전기저항률이 높거나 주변 환경이 불량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접지봉만으로는 기준 저항값(보통 10Ω 이하)을 확보하기 어렵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접지저항 저감기법이 활용되며, 대표적으로는 물리적 저감법과 화학적 저감법이 있다.

수뢰부란 낙뢰 전류를 가장 먼저 받아들이는 피뢰설비의 구성요소로, 건축물이나 시설물을 직접적인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다. 수뢰부의 설계는 피뢰설비 전체 성능을 좌우하며, 보호각도법, 회전구체법, 메시법 등의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소방원론

수뢰부 설계 보호각법 회전구체법 메시법

수뢰부란 낙뢰 전류를 가장 먼저 받아들이는 피뢰설비의 구성요소로, 건축물이나 시설물을 직접적인 낙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설치된다. 주로 피뢰침, 인하도선, 메시 등으로 구성되며, 수뢰부의 설계는 피뢰설비 전체 성능을 좌우하며, 보호각도법, 회전구체법, 메시법 등의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정전기 유도는 대전체 근처의 도체에서 전기장이 작용해 전하가 분리되는 현상이고, 전자기 유도는 자기장의 시간적 변화로 전류가 유도되는 현상이다. 두 현상 모두 외부 영향으로 전하 또는 전류가 유도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소방원론

정전기 유도와 전자기 유도

정전기 유도는 대전체 근처의 도체에서 전기장이 작용해 전하가 분리되는 현상이고, 전자기 유도는 자기장의 시간적 변화로 전류가 유도되는 현상이다. 두 현상 모두 외부 영향으로 전하 또는 전류가 유도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정전기는 마찰·접촉·분리 등으로 전자가 이동해 발생하며, 이를 대전현상이라 한다. 절연체에선 전하가 오래 유지되고, 전위차가 커지면 공기나 도체를 통해 방전이 일어나 화재·폭발 위험이 생긴다. 방전은 코로나·불꽃·천공방전으로 구분된다.
소방원론

정전기 발생원리 대전현상 방전현상 ①

정전기는 마찰·접촉·분리 등으로 전자가 이동해 발생하며, 이를 대전현상이라 한다. 절연체에선 전하가 오래 유지되고, 전위차가 커지면 공기나 도체를 통해 방전이 일어나 화재·폭발 위험이 생긴다. 방전은 코로나·불꽃·천공방전으로 구분된다.

액체는 마찰, 충돌, 분사 등에 의해 대전되며, 저항율이 높을수록 정전기 축적 위험이 크다. 대전된 액체는 방전 시 화재나 폭발을 유발할 수 있어 접지, 도전성 배관, 유속 제한 등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소방원론

액체의 대전현상 저항률 대책방안

액체는 마찰, 충돌, 분사 등에 의해 대전되며, 저항율이 높을수록 정전기 축적 위험이 크다. 대전된 액체는 방전 시 화재나 폭발을 유발할 수 있어 접지, 도전성 배관, 유속 제한 등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절연열화는 절연체가 열, 습기, 전기장 등에 장기간 노출되어 절연성이 저하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표면에 탄화흔이 생기며 트레킹(tracking)이 발생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길이 형성된다. 트레킹이 심해지면 흑연화가 일어나 전도성이 증가하고 화재 위험이 커진다.
소방전기

절연열화 트레킹현상 흑연화현상 3가지

절연열화는 절연체가 열, 습기, 전기장 등에 장기간 노출되어 절연성이 저하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표면에 탄화흔이 생기며 트레킹(tracking)이 발생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길이 형성된다. 트레킹이 심해지면 흑연화가 일어나 전도성이 증가하고 화재 위험이 커진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