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기 유도는 대전체 근처의 도체에서 전기장이 작용해 전하가 분리되는 현상이고, 전자기 유도는 자기장의 시간적 변화로 전류가 유도되는 현상이다. 두 현상 모두 외부 영향으로 전하 또는 전류가 유도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소방원론

정전기 유도와 전자기 유도

정전기 유도는 대전체 근처의 도체에서 전기장이 작용해 전하가 분리되는 현상이고, 전자기 유도는 자기장의 시간적 변화로 전류가 유도되는 현상이다. 두 현상 모두 외부 영향으로 전하 또는 전류가 유도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정전기는 마찰·접촉·분리 등으로 전자가 이동해 발생하며, 이를 대전현상이라 한다. 절연체에선 전하가 오래 유지되고, 전위차가 커지면 공기나 도체를 통해 방전이 일어나 화재·폭발 위험이 생긴다. 방전은 코로나·불꽃·천공방전으로 구분된다.
소방원론

정전기 발생원리 대전현상 방전현상 ①

정전기는 마찰·접촉·분리 등으로 전자가 이동해 발생하며, 이를 대전현상이라 한다. 절연체에선 전하가 오래 유지되고, 전위차가 커지면 공기나 도체를 통해 방전이 일어나 화재·폭발 위험이 생긴다. 방전은 코로나·불꽃·천공방전으로 구분된다.

액체는 마찰, 충돌, 분사 등에 의해 대전되며, 저항율이 높을수록 정전기 축적 위험이 크다. 대전된 액체는 방전 시 화재나 폭발을 유발할 수 있어 접지, 도전성 배관, 유속 제한 등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소방원론

액체의 대전현상 저항률 대책방안

액체는 마찰, 충돌, 분사 등에 의해 대전되며, 저항율이 높을수록 정전기 축적 위험이 크다. 대전된 액체는 방전 시 화재나 폭발을 유발할 수 있어 접지, 도전성 배관, 유속 제한 등 예방조치가 필요하다.

절연열화는 절연체가 열, 습기, 전기장 등에 장기간 노출되어 절연성이 저하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표면에 탄화흔이 생기며 트레킹(tracking)이 발생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길이 형성된다. 트레킹이 심해지면 흑연화가 일어나 전도성이 증가하고 화재 위험이 커진다.
소방전기

절연열화 트레킹현상 흑연화현상 3가지

절연열화는 절연체가 열, 습기, 전기장 등에 장기간 노출되어 절연성이 저하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표면에 탄화흔이 생기며 트레킹(tracking)이 발생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길이 형성된다. 트레킹이 심해지면 흑연화가 일어나 전도성이 증가하고 화재 위험이 커진다.

아산화동(Cu₂O)은 전선 접속부의 접촉 불량 시 생성되며, 온도 상승에 따라 전기저항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해당 부위에 전류가 집중되어 발열이 증가하고, 절연 피복이 탄화되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소방전기

아산화동(Cu₂O) 발열현상 메커니즘 방지대책

아산화동(Cu₂O)은 전선 접속부의 접촉 불량 시 생성되며, 온도 상승에 따라 전기저항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해당 부위에 전류가 집중되어 발열이 증가하고, 절연 피복이 탄화되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류 회로의 양극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지며, 차단기로도 방지하기 어려워 정기적인 점검과 적절한 접속기구 사용이 중요합니다.

단락은 전기회로에서 두 상 또는 상과 중성선 사이가 저항 없이 연결되어 큰 고장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말하며, 이는 화재나 기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지락은 전선 등의 활선이 대지와 접촉하여 전류가 지면을 통해 흐르는 현상으로, 감전사고나 장비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소방원론

단락 지락 위험성 대응방안 7가지

단락은 전기회로에서 두 상 또는 상과 중성선 사이가 저항 없이 연결되어 큰 고장전류가 흐르는 상태를 말하며, 이는 화재나 기기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지락은 전선 등의 활선이 대지와 접촉하여 전류가 지면을 통해 흐르는 현상으로, 감전사고나 장비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