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 통전 확인과 종단저항 통전 확인의 차이점
소방 설비의 정상 작동을 확인하는 통전 시험, 아직도 릴레이 방식과 종단저항 방식이 헷갈리시나요? 두 방식의 근본적인 차이점과 장단점, 그리고 현장 적용 사례를 명확히 비교 분석하여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핵심을 짚어드립니다.
소방전기는 모든 소방설비에 대하여 감시하고 제어하며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소방 설비의 정상 작동을 확인하는 통전 시험, 아직도 릴레이 방식과 종단저항 방식이 헷갈리시나요? 두 방식의 근본적인 차이점과 장단점, 그리고 현장 적용 사례를 명확히 비교 분석하여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핵심을 짚어드립니다.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NFTC 203) 설계 시 놓치기 쉬운 핵심 사항을 총정리했습니다. 경계구역 설정부터 감지기, 배선 기준까지 실무에 바로 적용 가능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완벽한 도면을 완성하세요.
절연열화는 절연체가 열, 습기, 전기장 등에 장기간 노출되어 절연성이 저하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표면에 탄화흔이 생기며 트레킹(tracking)이 발생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길이 형성된다. 트레킹이 심해지면 흑연화가 일어나 전도성이 증가하고 화재 위험이 커진다.
아크는 절연 파괴 후 지속적인 전류가 흐르며 고온의 플라즈마를 형성해 화재 위험이 크고, 스파크는 순간적인 방전으로 가연성 물질 착화 우려가 있다. 아크차단기, 접지 등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아크차단기가 한국은 현재 권고 수준이나 단계적 도입이 바람직하다.
아산화동(Cu₂O)은 전선 접속부의 접촉 불량 시 생성되며, 온도 상승에 따라 전기저항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해당 부위에 전류가 집중되어 발열이 증가하고, 절연 피복이 탄화되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류 회로의 양극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지며, 차단기로도 방지하기 어려워 정기적인 점검과 적절한 접속기구 사용이 중요합니다.
누전경보기는 전기선에서 새는 전류(누설전류)를 감지해 화재 위험을 경고해주는 기기입니다. 쉽게 말해, 전기선에 문제가 생겨 전류가 이상하게 흐르면 이를 감지해 ‘삐-’ 하고 알려주는 장치입니다.
누전차단기는 전로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감전사고나 전기화재를 예방하는 전기보호장치이다.
가스누설경보기 화재안전성능기준 적용범위를 요약정리
NFPA72 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기감지기와 열감지기의 설치기준을 적용하기 쉽게 반경기준으로 정리하여 설명하였으며 일반 천장구조와 보 구조로 된부분을 분리하여 설치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무선통신보조설비는 소화활동설비로서 소방관이 화재를 진압하기위해 통제실과 소통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장비이다. 이런 설비를 설치해야하는 소방대상물과 설치해야하면 어떤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해야하고 설치해야하는 전송장치는 동축케이블, 누설동축케이블, 안테나 등으로 구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