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연열화 트레킹현상 흑연화현상 3가지
2025년 06월 06일

절연열화는 절연체가 열, 습기, 전기장 등에 장기간 노출되어 절연성이 저하되는 현상이다. 이로 인해 표면에 탄화흔이 생기며 트레킹(tracking)이 발생하고,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길이 형성된다. 트레킹이 심해지면 흑연화가 일어나 전도성이 증가하고 화재 위험이 커진다.
Read more
아크와 스파크, 아크차단기의 필요성, 동작원리 5단계
2025년 06월 05일

아크는 절연 파괴 후 지속적인 전류가 흐르며 고온의 플라즈마를 형성해 화재 위험이 크고, 스파크는 순간적인 방전으로 가연성 물질 착화 우려가 있다. 아크차단기, 접지 등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아크차단기가 한국은 현재 권고 수준이나 단계적 도입이 바람직하다.
Read more
아산화동(Cu₂O) 발열현상 메커니즘 방지대책
2025년 06월 04일

아산화동(Cu₂O)은 전선 접속부의 접촉 불량 시 생성되며, 온도 상승에 따라 전기저항이 급격히 감소합니다. 이로 인해 해당 부위에 전류가 집중되어 발열이 증가하고, 절연 피복이 탄화되어 화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류 회로의 양극에서 이 현상이 두드러지며, 차단기로도 방지하기 어려워 정기적인 점검과 적절한 접속기구 사용이 중요합니다.
Read more
누전경보기 설치대상 설치기준 동작원리 영상변류기
2025년 05월 31일

누전경보기는 전기선에서 새는 전류(누설전류)를 감지해 화재 위험을 경고해주는 기기입니다. 쉽게 말해, 전기선에 문제가 생겨 전류가 이상하게 흐르면 이를 감지해 ‘삐-’ 하고 알려주는 장치입니다.
Read more
누전차단기 개념 동작원리 정격감도별 분류 설치장소 8가지
2025년 05월 30일

누전차단기는 전로에서 발생하는 누설전류를 감지하여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함으로써 감전사고나 전기화재를 예방하는 전기보호장치이다.
Read more
NFPA72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발신기 설치기준
2024년 07월 31일

NFPA72 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기감지기와 열감지기의 설치기준을 적용하기 쉽게 반경기준으로 정리하여 설명하였으며 일반 천장구조와 보 구조로 된부분을 분리하여 설치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Read more
무선통신보조설비 설치대상 구성요소 설치기준
2024년 07월 22일

무선통신보조설비는 소화활동설비로서 소방관이 화재를 진압하기위해 통제실과 소통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장비이다. 이런 설비를 설치해야하는 소방대상물과 설치해야하면 어떤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해야하고 설치해야하는 전송장치는 동축케이블, 누설동축케이블, 안테나 등으로 구성된다.
Read more
유도등 종류와 배선방식 2가지
2024년 07월 18일

유도등은 화재시 원활한 피난을 위하여 피난구의 위치와 피난방향을 정확히 지시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재실자의 인명안전과 신속한 피난유도가 주목적이다. 유도등의 종류에는 피난구 유도등, 통로 유도등, 객석 유도등, 유도표지등이 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