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구 설치기준 능력단위 감소기준
NFTC 101에 따른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핵심 설치 기준을 총정리합니다. 용어 정의부터 소화기 종류, 능력단위, 배치 기준과 주방/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 설치법, 그리고 실무에서 헷갈리는 감소 기준까지 완벽하게 마스터하세요.
실질적으로 화재를 진압 제어하여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설비
NFTC 101에 따른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핵심 설치 기준을 총정리합니다. 용어 정의부터 소화기 종류, 능력단위, 배치 기준과 주방/캐비닛형 자동소화장치 설치법, 그리고 실무에서 헷갈리는 감소 기준까지 완벽하게 마스터하세요.
NFTC 103 기반 스프링클러 설비 설계 및 감리를 위한 핵심 체크리스트입니다. 수원, 가압송수장치부터 배관, 헤드, 전원, 제어반까지 실무에서 놓치기 쉬운 필수 검토 항목을 총정리하여, 법규에 맞는 완벽한 시공을 돕습니다.
2022년 12월부터 시행된 옥내소화전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2)의 모든 것을 파헤칩니다. 수원, 가압송수장치, 배관부터 전원, 제어반까지 실무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규정을 완벽 해설합니다.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NFPC 107A가 2024년 8월 1일부로 개정될 예정이고 개정되는 조항이 제6조 제4항, 제7조 제1항, 제8조 제1항, 제17조 입니다.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화재안전ㅅ어능기준이 2024년 8월 1일 부로 일부 개정되며 개정되는 조항은 NFPC 106 제4조, 6조, 8조, 17조, 19조 이다.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거실제연의 개념과 설치해야하는 설치대상 그리고 제연방식이 어떤것이 있는지 서술하였고 제연방식에 따른 주의사항과 장단점이 무엇이 있는지 설명하였습니다.
옥외소화전은 지상1층과 지상2층의 면적의 합이 9,000평방미터 이상인경우 적용대상이며 인접건물로의 화재확대를 방지하는 목적이 있기때문에 건축물의 거리와 개구부를 고려하여 설치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