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PA72 연기감지기 열감지기 발신기 설치기준

화재감지기를 설치된 모습인데 실링내부에 전선관을 설치 고정하고 사각박스를 통해 실링하부의 화재감지기와 연결하며 트러스 하부에 전선관이 노출로 연결된 모습이다.

NFPA72 에서 규정하고 있는 연기감지기와 열감지기의 설치기준을 적용하기 쉽게 반경기준으로 정리하여 설명하였으며 일반 천장구조와 보 구조로 된부분을 분리하여 설치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공동주택에 적용해야하는 소화설비

전형적인 공동주택으로 발코니가 있고 1층에는 근생매장이 자리잡고 있는 모습이다.

공동주택은 규모에 따라 아파트, 연립주택, 다세대주택, 기숙사로 나뉘며 설치해야하는 소화설비는 소화기구, 옥내소화전, 스프링클러,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방송설비, 피난기구, 유도등, 비상조명등, 부속실 제연설비 연결송수관 설비, 비상콘센트 설비등이 있다.

무선통신보조설비 설치대상 구성요소 설치기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 방식은 접속단자, 동축케이블, 분배기, 커넥터, 누설동축케이블, 종단저항으로 이루어져 있고 안테나 방식은 접속단자, 동축케이블, 분배기, 안테나로 이루어짐을 그림으로 표현함

무선통신보조설비는 소화활동설비로서 소방관이 화재를 진압하기위해 통제실과 소통하기 위해 꼭 필요한 장비이다. 이런 설비를 설치해야하는 소방대상물과 설치해야하면 어떤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해야하고 설치해야하는 전송장치는 동축케이블, 누설동축케이블, 안테나 등으로 구성된다.

거실제연 개념 설치대상 제연방식

거실제연 개념도이며 화재실의 연기를 배기하여 피난로로 연기가 확산되지 않을 충분한 풍량으로 하여야함을 그림으로 표현하였습니다.

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고 있는 거실제연의 개념과 설치해야하는 설치대상 그리고 제연방식이 어떤것이 있는지 서술하였고 제연방식에 따른 주의사항과 장단점이 무엇이 있는지 설명하였습니다.

유도등 종류와 배선방식 2가지

피난구유도등 사진이며 녹색바탕에 흰색문자로 되어있고 사람이 뛰어나가는 형상을 하고 있다.

유도등은 화재시 원활한 피난을 위하여 피난구의 위치와 피난방향을 정확히 지시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재실자의 인명안전과 신속한 피난유도가 주목적이다. 유도등의 종류에는 피난구 유도등, 통로 유도등, 객석 유도등, 유도표지등이 있다.

비상콘센트 설치대상 설치기준

단상 220V 비상콘센트 설비의 외형사진입니다. 콘센트와 차단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비상콘센트를 설채해야되는 설치대상과 설치하게되면 어떻게 설치해야되는지를 설치높이, 배치기준, 비상콘센트 함, 전원, 전원회로 설치기준으로 나누어서 설명하였습니다.

빛의 단위인 광속 광도 조도 휘도의 차이점

빛이 나오는 광원과 광원으로 부터 나오는 빛의 총량인 광속 그리고 어느 정해진 방향으로 나오는 빛의 세기인 광도 그리고 대상물에 도달하는 빛의 양인 조도와 대상무에서 반사되어 안구에서 눈부심의 정도를 나타내는 휘도를 그림으로 표현하였습니다.

빛의 단위인 광속, 광도, 조도, 휘도 등을 어떻게 정의 되는지 설명하였으며 소방에서는 시각경보장치는 광도를 규정하고 비상조명등은 조도를 규정하며 유도등은 휘도로 규정되어진다.

옥외소화전 설치대상 설치기준

옥외소화전설비 지상식과 지하식의 설치상세도를 표현하였는데 콘크리트 블러을 설치하고 그위에 고정하며 방수구가 어떻게 설치되는지 표현함

옥외소화전은 지상1층과 지상2층의 면적의 합이 9,000평방미터 이상인경우 적용대상이며 인접건물로의 화재확대를 방지하는 목적이 있기때문에 건축물의 거리와 개구부를 고려하여 설치해야 한다.